이상준 작가 인성교육자존감전문칼럼니스트. 『이타적 자존감수업 』 저자.
'디아블로'라는 온라인 게임이 있는데 천사와 악마가 대결하는 게임이다. 이 게임에 푹 빠져있는 목사님이 있었다. 사람들이 성직자가 성경을 읽어야지 웬 게임에 빠져있느냐고 하자 그가 대꾸했다. "나는 하나님의 사도인 목사입니다. 게임 속이라도.................악마들이 설치고 다니는 꼴을 볼 수 없습니다."
일부 교회 목사님들을 비롯하여 스님, 신부님 등 거룩한 성직자들이 타락하는 경우가 자꾸 벌어지고 있다. 왜 타락하는 걸까? 필자는 이 문제에 대해 뇌과학을 연구하기 전까진 의문을 가졌었다. 성직자가 되려면 몇 십년을 성경 불경 등을 연구해야 하는데 이 책들은 이타적 자존감의 끝판왕인 책들로서 많이 읽을수록 더욱 거룩해져야하는데 실상은 그렇지가 않은 것이다. 책은 인성교육에 효과가 없는 것일까? 그렇지도 않은 것이 조선시대 선비들은 논어 맹자 등의 유교 경전들을 통해 인격을 닦을 수 있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뭐가 문제인 것일까? 이 의문은 뇌과학 연구를 통해 해결되었다. 이것을 여러분과 나누고자 한다.
뇌과학적 타락 원인
목사님들은 처음엔 사명감으로 똘똘 뭉쳐있었다.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증거하는 하나님의 사도다'라는 이타적 자존감이 높다. 이 높은 자존감이 이기심과 욕망을 통제해서 높은 인격을 가지게 한다. 하지만 교회가 부흥하면서 월급도 높아지고 대우가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물질의 맛도 알게되고 우월감이 높아지기 시작한다. 이기심과 욕망을 담당하는 짐승의 뇌부위에는 물질적 쾌락을 맛보게 되면 도파민이라는 쾌락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이 도파민은 즐거움을 맛볼수록 더욱 강한 쾌락을 추구하도록 부추기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도파민 분비가 증가될수록 욕망과 이기심이 강해지게 되고 이는 결국 짐승의 뇌의 욕망을 통제하는 사명감과 이타적 자존감을 관장하는 현자의 뇌의 통제력을 약화시킨다. 결국 이기심과 욕망이 이타적 자존감을 압도하게 되어 머리속을 이타심 대신 이기심으로 충만하게 채우게 된다. 타락하는 것이다.
타락을 막으려면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타락을 방지할 수 있을까? 부처님이 이에 대한 훌륭한 방법을 제시했다. 부처님처럼 도를 깨우친 경우라 하더라도 도를 한 번 깨우쳤다고 더 이상 아무 것도 안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방을 한 번 청소했다고, 목욕 한 번 했다고 그 청결성이 영원히 유지되는 것이 아니듯이 정신도 마찬가지다. 현자의 뇌가 짐승의 뇌를 통제하는 성숙한 정신을 가지게 되었다 하더라도 짐승의 뇌는 여전히 활동하고 있고 욕망과 이기심은 여전히 살아있다. 단지 현자의 뇌의 이타적 자존감에 잘 통제하에 있을 뿐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분출되는 짐승의 뇌의 욕망과 감정을 역시 지속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선 현자의 뇌의 이타적 자존감을 계속 갈고 닦아야 하는 것이다. 청소한 방과 씻은 몸에 지속적으로 끼는 먼지와 때를 계속 닦아줘야 청결성이 유지되는 것과 같다. 그래서 부처님이 6년간의 수행끝에 보리수 나무 아래서 도를 깨우쳤지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명상과 선행을 통해 현자의 뇌의 통제력을 유지해나간 것이다.
필자의 친구 중에 대형 금융계열사 사장에 임명된 친구가 이런 말을 했다. '내가 잘 나서 이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니다'라고 항상 되새긴다는 것이다. 목사님들의 경우엔 교회가 부흥되더라도 '이것은 내 능력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 때문이다'라고 자신을 계속적으로 채찍질해야 한다. 이것 또한 교만하지않고 현자의 뇌의 통제력을 계속 강하게 유지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현자의 뇌의 통제력을 강화시켜 이타적 자존감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짐승의 뇌의 욕망과 이기심을 계속 통제해나감으로써 타락하지않을 수 있게 되는 비결이 될 것이다. 목사님들. 여러분들은 하나님의 귀한 사도들입니다. 그 고귀한 가치를 추락시키기 말기 바랍니다(해당 내용 아래 유튜브 동영상).
*생존적 자존감: '나는 이 세상에 살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다'
*이타적 자존감 : '나는 세상에 도움을 주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현자의 뇌(지성의 뇌 wise brain) : 이타적 자존감, 이성, 고등지능을 담당하는 고차원적 뇌부위
*짐승의 뇌(야성의 뇌 wild brain) : 이기적 자존감, 감정, 욕망 등 본능을 관장하는 원초적 뇌부위
유튜브 동영상 : [뇌과학]일부 목사님들이 타락하는 이유_이상준의 세로톤인성21
☆인성교육과 자존감 관련 자세한 설명 아래 인터뷰 참고.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인터뷰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크리스천투데이 인터뷰:“자존감도 ‘이기적·이타적’ 구분해야 합니다”
내 아이 마음성장을 위한 인성교육코칭 <이타적 자존감수업> 이상준 작가.
자존감 높이는 방법 뇌 부위마다 달라
잘 나가던 사람들 한순간 추락, 결국 자존감 문제
성인들도 얼마든지 이타적 자존감 향상 가능해
'이상준의 뇌과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분류에 대한 새로운 제안 (0) | 2021.04.21 |
---|---|
[뇌과학]수퍼긍정 수퍼건강(긍정이 건강에 좋은 이유) (0) | 2021.04.02 |
[뇌과학]빵구우면 집 빨리 판다 (0) | 2021.03.26 |
[뇌과학]적을 내편으로 바꾸는 유머 (1) | 2021.03.19 |
[뇌과학]극단적 선택 막기 (2) | 2021.03.12 |